2022년 12월 22일, FDA는 “Lunsumio”의 품목허가 신청에 대해 가속승인(Accelerated Approval)한다고 밝혔습니다.
승인 내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제품명: Lunsumio (룬수미오)
성분명: mosunetuzumab-axgb
□ 적응증: 여포성 림프종(follicular lymphoma, FL)
- 신규 환자에게 바로 처음부터 처방할 수 있는 1차 치료제는 아니며,
- 최소 2회 이상의 전신투여 약물치료를 받은 후 “재발” 하거나 “효과가 없는(불응)” 성인 FL 환자에게 투여하도록 승인되었습니다.
- 참고로, FL은 비호지킨림프종에 속하는 혈액암의 한 유형입니다.
□ 제형: 액상 주사제로, 일회용 바이알에 포장됩니다.
- 1mg/mL 농도로 1mL 과 30mL 2가지 용량으로 승인되었습니다.
□ 용법: 정맥주사(IV) 로 투여하며, 초회 용량은 1mg, 7주차 부터는 21일마다 30mg을 투여합니다.
- 투여 주기(Cycle)에 따른 상세 용법용량은 아래와 같습니다(룬수미오 치료의 1 Cycle = 21일입니다).
위 FDA 권장용량을 풀어서 얘기하면,
- Cycle 1의 첫째날(Cycle 1 Day 1)은 1mg 투여, 8일차에 2mg, 15일차에는 60mg으로 올려서 투여합니다.
- Cycle 2 Day 1 (최초 투여일로부터 계산하면 22일차가 됩니다)은 60mg 투여하고, 21일간 추가 투여는 없습니다.
- 그리고, Cycle 3 부터는 30mg으로 다시 줄여서 투여하며, 이후부터는 21일마다 동일하게 30mg을 투여합니다.
□ 작용 기전(MOA):
- Lunsumio는 암세포를 죽이는 체내 면역세포인 “T세포”를 유도하도록 설계된 이중항체 의약품으로, 두개의 단백질, "CD20"과 "CD3"을 동시에 결합할 수 있습니다.
- 여기서, CD20는 종양(림프종) 세포 표면에 발현하는 단백질로, 암세포를 타겟팅하기 위해 사용합니다.
- CD3는 T세포 표면에 발현하는 단백질로, T세포를 유인하기 위해 사용합니다.
- 즉, Lunsumio가 직접 암세포를 죽이지 않고, T세포를 암세포로 끌어들여, 이 T세포가 암세포를 죽이도록 유도하는 원리입니다.
※ 다만, Lunsumio는 단백질(=항체)이라는 물질 특성 상, 인체에서 원하지 않는 면역반응을 일으킬 수 있는 “부작용” 위험도 있습니다. 이에, 점차 용량을 늘려가는 용법을 권고하고 있으며, FDA의 허가 서류에는, 이러한 면역 이상반응의 하나인 "사이토카인 방출 증후군(Cytokine Release Syndrome)"에 대한 경고(Boxed Warning)를 아래와 같이 허가서류에 함께 기재하고 있습니다.
FDA의 발표에 따르면, 임상시험 결과, 218명의 혈액암 환자 중 39%에서 이러한 CRS 이상반응이 발생했다고 하며, 초기 투여 시 주의깊게 관찰해야 할 것으로 보입니다.
이번 FDA 가속승인의 근거가 된 임상시험을 살펴보면,
- 2회 이상의 다른 약물 치료후 “재발” 또는 “불응”한 성인 FL 환자 90명을 대상으로 분석한 효능평가 결과,
- ORR은 80%, 완전치유에 해당하는 CRR은 60%라는 높은 효능을 보여주었으며,
- 또한, DOR 중앙값은 약 22.8개월로 장기간 효능이 지속되는 것을 보여주었습니다.
- 이러한 높은 효능에 기반하여 FDA에서 가속승인한 것으로 보여집니다.
참고로 임상 용어는 아래 글에서 참고하실 수 있습니다.
항암제 개발 임상 용어 / 약어 / 효능지표
항암제 임상 결과 기사들을 보면 종종 접하게 되는 영문 약어, 용어들을 정리해보았습니다. (알파벳 순이 아닌, 의미/사용에 따른 순서) □ OS: Overall Survival 환자 생존(기간): 임상약 투여부터 사
pharmcheck.tistory.com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셨다면, 공감, 댓글, 구독 부탁드립니다~

'FDA 신약승인 Database'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3.1.19. Seagen의 HER2 저해제 “Tukysa”, 직장결장암 치료 적응증 추가 승인 (0) | 2023.01.30 |
---|---|
2023.1.19. BeiGene의 BTK 저해제 “Brukinsa”, 치료 적응증 CLL/SLL 추가 승인 (0) | 2023.01.27 |
2022.12.12. Mirati, KRAS 표적항암제 “Krazati” FDA 승인 (0) | 2023.01.10 |
2022.12.1. Forma Therapeutics, 백혈병 치료제 “Rezlidhia” FDA 승인 (0) | 2023.01.09 |
2022.11.22. 세계에서 가장비싼 치료제 "Hemgenix", FDA 승인 (0) | 2023.01.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