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약 용어 & 약어

항암제 개발 임상 용어 / 약어 / 효능지표

ikebox 2023. 1. 4. 23:02

항암제 임상 결과 기사들을 보면 종종 접하게 되는 영문 약어, 용어들을 정리해보았습니다.

(알파벳 순이 아닌, 의미/사용에 따른 순서)

 

□ OS: Overall Survival

  • 환자 생존(기간): 임상약 투여부터 사망까지 기간입니다.
  • 종종 Overall Survival Rate과 함께 사용되며, 이는 전체 생존률을 의미합니다. 예로, 5년 후 OSR이 30%라는 의미는, 5년 경과 시점에서 전체 환자수의 30% 환자가 생존해있음을 의미합니다.
  • 항암제 개발에서  가장 중요한 효능 지표로, 임상시험에서 OS 개선은 가장 중요한 1차 임상목표로 사용됩니다.

 

□ PFS: Progression Free Survival

  • 질병 무진행 생존기간: 임상약 투여부터 종양이 진행(더 커지는) 또는 사망까지 기간입니다.

 

□ PR: Partial Response

  • 부분반응: 종양 크기가 30%* 이상 줄어든 경우 부분반응으로 판정합니다.

* 고형암 평가기준(Response Evaluation Criteria in Solid Tumor)에 따른 것으로, 혈액암 임상 등 임상시험에 따라 기준이 다름

 

□ CR: Complete Response

  • 완전반응 또는 완전관해: 종양이 완전히 소멸된 것으로, 통상 완치된 것으로 해석되는 최고의 효능 지표입니다.

 

□ ORR: Overall Response Rate

  • 객관적 반응률: 임상약의 효능(PR과 CR을 포함)을 확인한 환자의 비율(%)로 표기합니다.
  • CR 환자의 비율을 CRR 이라고도 표현합니다.

 

□ DOR: Duration Of Response

  • 반응 지속기간: 임상약 투여 후 최초 PR 또는 CR 판정부터 PD 또는 사망까지 그 효능이 지속되는 기간입니다.

 

□ PD: Progressive Disease

  • 질병 진행: 종양 크기가 20%* 이상 커진 상태로, 약물 효능이 없음을 의미, 통상 임상약 투여를 중단합니다.

* RECIST에 따른 것으로, 혈액암 임상 등 임상시험에 따라 기준이 다름

□ TTP: Time To Progression

  • 임상약 투여부터 PD로 판정될때까지 기간입니다.

□ SD: Stable Disease​

  • 종양 크기가 진행(PD)도 반응(PR)도 아닌, 일정하게 유지되는 상태로, 약물 효능이 없는 것은 아니며, 심각한 이상반응이 나타나지 않는 한 PD로 진행되기 전까지 임상약 투여를 계속합니다.

 

□ DCR: Disease Control Rate

  • 질병조절율: CR, PR과 함께 SD를 포함한 환자의 비율(%)로 표기합니다(ORR에 SD 환자를 포함한 비율).
  • SD를 약물에 의해 종양이 조절되고 있는 것으로 평가하여, ORR과 함께 흔히 사용되는 효능지표입니다.

□ DLT: Dose Limiting Toxicity

  • 용량제한 독성: 임상1상의 용량탐색 연구에서, 환자의 이상반응으로 인해 용량을 더 늘리지 못하게 되는 부작용(독성)을 가리킵니다.

 

□ MTD: Maximum Tolerated Dose​

  • 최대내약용량: 임상약의 투여 가능한 최대 용량으로, 임상1상시험 단계에서 결정됩니다. 통상 DLT를 확인한 용량(Dose) 아래에서 결정합니다.

(항암제 임상 약어/용어는 이 글에서 계속 업데이트 예정입니다)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셨다면, 공감, 댓글, 구독 부탁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