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 2월 9일, FDA는 글로벌제약사 GSK가 개발한 면역항암제 “Jemperli”에 대해 정식승인(Regular Approval)한다고 밝혔습니다. 그럼 Jemperli의 허가 내용을 살펴보겠습니다.
제품명: Jemperli(젬펄리)
성분명: Dostarlimab-gxly(도스탈리맙)
Jemperli는 앞선 2021년 4월 22일, 먼저 FDA 가속승인(Accelerated Approval)을 획득한 혁신신약입니다. 가속승인은 임상2상 결과에 근거한 조건부 승인으로, 임상3상 확증 임상(Confirmatory Trial) 결과를 추후 제출하는 조건으로 FDA가 승인하는 제도입니다. 보통 새로운 치료제에 대한 임상 니즈가 높거나, 혁신적인 기술의 신약에게 부여하는 특례제도라고 보시면 됩니다.
먼저 2021년 가속승인 시 허가된 내용을 알아보겠습니다.
당시 승인된 적응증은,
- 재발하거나 진행성 자궁내막암으로,
- 백금기반 항암제로 선행 치료한 후 PD로 진행된 dMMR 성인 환자에게 사용합니다.
- 이 약을 사용하기 전에 FDA에서 승인된 테스트로 dMMR로 확인된 환자를 선별하여 사용합니다.
여기서 dMMR 이란?
mismatch repair deficient의 약어로, 불일치 복구(mismatch repair) 결함(deficient)이라는 뜻입니다.
세포가 성장한다는 이야기는 세포안의 DNA도 복제되며 세포수가 늘어나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러한 DNA의 긴 서열이 복제되는 과정에서 실수로 다른 DNA가 복제되는 “DNA의 불일치”가 발생할 수 있으며, 세포 안에는 이러한 비정상적인 불일치 상태를 "인지하고 수정"하는 기능의 단백질들이 있어서 정상적으로 복구(Repair)됩니다.
그런데 이러한 복구 과정에 “결함”이 생긴 상태를 dMMR이라고 하며, 이는 DNA에 돌연변이가 발생한다는 의미로, 이러한 dMMR이 암 발생과도 연관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그럼, 이번 2월 9일 정식 승인(Regular Approval)의 의미는?
[1] 먼저, FDA가 가속승인 시 요구한(2021년) 확증임상(confirmatory trial) 결과가 FDA 심사를 통과하였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2] 또한, 앞서 2021년 승인된 적응증인 “자궁내막암” 에 추가하여, 다른 고형암 치료에도 사용할 수 있도록 적응증이 확대되었습니다. 물론 FDA 테스트를 통해 dMMR 환자를 선별해야 하는 것은 자궁내막암 치료와 동일합니다. 그리고, 이번 고형암 확대 승인은 가속승인 조건으로, 추후 확증임상 결과를 FDA에 제출해야 합니다.
이어서 Jemperli의 허가사항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 제형: 액상 제형으로, 500 mg/10 mL 용량으로 1회용 바이알에 포장됩니다.
□ 용법: 정맥 주입(IV infusion)으로 투여합니다.
- 최초 투여부터 4회차 까지는, 3주에 1회 500mg을 투여하며,
- 그 이후 5회차 투여부터는 6주마다 1회 1,000mg을 투여합니다. 장기간 투여 시에는 용량을 늘리는 만큼 투여간격이 길어져, 병원에 방문해야하는 불편함은 다소 줄어들었다고 볼 수 있습니다.
□ 작용 기전(MOA):
- Jemperli는 PD-1 수용체와 결합하는 항체 의약품입니다.
여기서, PD-1 수용체(Receptor)란?
인체의 면역세포인 T세포 표면에 발현하는 단백질로, 암세포 표면의 PD-1 ligand(PD-L1, PD-L2)와 결합하면, T세포는 암세포를 정상세포로 인식하고 암세포를 죽이는 면역항암 기능이 일어나지 않습니다.
이러한 원리를 이용하여, 암세포는 자신의 외부에 PD-L1, PD-L2 단백질을 발현시켜, T세포가 자신(암세포)를 죽이는 것을 방해합니다.
- 즉, Jemperli는 T세포 표면의 PD-1수용체와 먼저 결합, T세포가 "암세포를 식별하고 죽이는 면역항암 기능"이 작동하도록 유도하여 암을 치료하는 기전입니다.
□ FDA에서 발표한, Jemperli의 확증임상결과를 보면,
- 141명의 성인 dMMR 자궁내막암 환자를 대상으로 한 임상 결과,
- ORR은 45.4%로, CRR이 15.6% 그리고, PRR이 29.8%로 나타났습니다.
- DOR 중앙값은 아직 도달하지 않았으며, 85.9% 환자는 12개월 이상의 DOR을, 54.7%의 환자는 24개월 이상의 DOR을 보여주었습니다.
참고로, 항암제 임상용어는 아래 글에서 참고하실 수 있습니다.

'FDA 신약승인 Database'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한양행이 기술수출한 레이저티닙, 미국 FDA 품목허가 승인 (0) | 2024.08.21 |
---|---|
2023.2.3. Gilead의 ADC항암제 "Trodelvy", 적응증 추가 승인 (0) | 2023.02.07 |
2023.2.1. GSK 신약 "Jesduvroq", 최초의 경구 복용 빈혈치료제로 승인 (0) | 2023.02.06 |
2023.1.27. Stemline Therapeutics의 표적항암제 "Orserdu", 유방암 치료제로 승인 (0) | 2023.02.02 |
2023.1.27. Lilly의 BTK 표적항암제 “Jaypirca”, FDA 가속승인 (0) | 2023.01.31 |